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경찰 체포술

by BlueLine Journal 2025. 6.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BlueLine Journal 입니다.
이번시간에는 한국 경찰 체포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겁니다.


🇰🇷 한국 경찰의 체포술 (현장 대응 기준)

✅ 1. 기본 원칙

경찰관 직무집행법, 형사소송법을 바탕으로 정당한 절차에 따라 체포

최소한의 물리력 사용 (필요 이상 무력 사용 금지)

경찰관 자기방어술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훈련함



---

✅ 2. 체포 전 절차

정당한 체포 사유 확인: 긴급체포, 현행범 체포, 체포영장 등

자기 신분 고지: "나는 경찰관입니다."

체포 사유 고지: "당신은 현재 ○○ 혐의로 체포합니다."

미란다 원칙 고지: 침묵권, 변호인 조력권 등 (필수는 아님, 그러나 현장선 권고)



---

✅ 3. 비무장 체포술 종류 (주로 사용)

▪ 손목 꺾기 (Wrist Lock)

저항하는 피의자의 손목을 꺾어 움직임을 제어


▪ 팔 꺾기 / 팔 비틀기 (Arm Bar)

팔을 꺾어 등 뒤로 이동시킨 후 수갑 제압


▪ 어깨 누르기 / 엎드리기 유도

무릎과 손으로 중심을 눌러 땅에 엎드리게 한 후 제압


▪ 다리 걸기 / 넘어뜨리기

도주하거나 적극 저항하는 사람을 넘어뜨려 제압



---

✅ 4. 무기/장비 사용 (상황에 따라)

장비 용도

🔹 수갑 체포 시 기본 사용
🔹 삼단봉 강한 저항이나 위협 시
🔹 테이저건 흉기 소지자, 위험도 높은 피의자 제압
🔹 권총 생명 위협 시 최후 수단


> 경찰은 무기를 사용할 때 경고 → 사용 → 사후보고 순서를 지켜야 함.




---

✅ 5. 수갑 채우는 요령

엎드린 자세에서 양손을 등 뒤로 모으게 하고

손바닥이 바깥을 향하게

수갑을 채운 후, 움직이지 않도록 확인하고 필요 시 한쪽 팔만 수갑 연결해 안전 확보



---

✅ 6. 제압 후 이송

체포 완료 시, 경찰차나 파출소로 이송

수갑은 이동 중에도 계속 유지, 단 인권 침해 방지 주의

현행범 체포 시 체포서 작성, CCTV 및 바디캠 기록



---

🥋 경찰 체포술 훈련: "경찰관 자기방어술"

경찰학교 및 경찰교육원에서 정기 훈련

유도, 합기도, 특공무술을 기본으로 구성

실전 상황 대응 중심



---

📌 참고: 경찰 무도 종목

유도 + 합기도 + 태권도 + 특공무술을 바탕으로 만든 실용 무술

검정띠가 있는 경찰관도 많음

현장 상황에 따라 “기술보다는 침착한 판단”이 더 중요하게 평가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