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경찰

각나라별 Lip Sync Challenge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BlueLine Journal 2025. 2. 27.
반응형

이번시간에는 흥미로운 주제로 왔습니다!
왜 미국 경찰관들이 업무시간에도 이런 챌린지를 하는지 궁금하시죠?한국에서 만약 경찰관들이 챌린지를 한다면
위에서 시켜서 그런거다 이러면서 비판을 하겠지만 미국은 일반 시민도 챌린지에 참여해 즐거운  이벤트를 시작합니다.
 
각나라별 미국, 일본, 한국 챌린지를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미국 경찰서에서 춤추는 영상을 촬영하는 것은 주로 커뮤니티 친화 활동이나 챌린지 이벤트
 

1. Lip Sync Challenge (립싱크 챌린지)

  • 2018년경 미국 경찰서에서 유행한 챌린지로, 경찰관들이 유명한 노래에 맞춰 춤을 추거나 립싱크를 하는 영상입니다.
  • 지역사회와의 친밀감을 높이고 경찰의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 있습니다.
  • 미국 전역의 경찰서들이 이 챌린지에 참여하며 SNS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2. Running Man Challenge (러닝맨 챌린지)

  • 2016년경 경찰관들이 ‘Running Man’ 춤을 추는 영상이 유행했습니다.
  • 미국 메릴랜드주 경찰이 처음 시작했으며, 이후 전 세계 경찰서에서도 참여하면서 유명해졌습니다.

3. Community Outreach & PR (지역사회 홍보 활동)

  • 경찰이 지역 주민들과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춤을 추는 영상이나 이벤트를 기획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경찰이 지역 학교를 방문하여 학생들과 함께 춤을 추는 행사 등이 있습니다.

4. Recruitment Video (채용 홍보 영상)

  • 일부 경찰서는 경찰 채용 홍보 영상을 만들 때 유쾌한 분위기를 위해 춤추는 장면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 경찰관들이 단체로 춤을 추면서 "우리와 함께할 사람을 찾습니다!"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5. TikTok & Social Media Trends (틱톡 및 SNS 트렌드)

  • 경찰서에서도 틱톡(TikTok) 등 SNS 트렌드를 활용하여 대중과 소통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 틱톡에서 유행하는 댄스 챌린지에 경찰이 참여하면서 경찰 조직의 인간적인 면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미국
https://youtu.be/cvE0ATH86-s?si=5EYchTxpRSkSDzpm

https://youtu.be/pxlym-r5Yew?si=pCdjuMgLBt6q93qL

https://youtu.be/qC7a1enboow?si=5r-J0QZrk3b0MY2W

일본
https://youtu.be/-zBQymii-3g?si=n87vuB1jJgkN0uie

일본 경찰이 춤추는 이유 및 목적

  1. 지역사회 친화 활동
    • 경찰이 시민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활동 중 하나로 춤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특히 어린이들이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통안전 캠페인에서 경찰관들이 춤을 추는 경우가 있음.
  2. 범죄 예방 및 교통 안전 캠페인
    • 일본 경찰은 학교나 공공장소에서 춤을 포함한 퍼포먼스를 통해 교통안전이나 범죄 예방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함.
    • 예를 들어, 보행자 안전 캠페인에서 경찰관들이 마스코트(예: 피포군)와 함께 춤을 추면서 교통법규 준수를 홍보하기도 함.
  3. SNS 및 홍보 영상
    • 미국 경찰처럼 일본 경찰도 SNS를 활용하여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춤을 출 때가 있음.
    • 하지만 미국처럼 개성 넘치는 ‘립싱크 챌린지’나 틱톡 댄스 같은 트렌드보다는, 정돈된 군무전통적인 일본식 퍼포먼스가 많음.
  4. 채용 홍보 활동
    • 경찰 채용 홍보 영상에서 경찰학교 훈련생들이 단체로 춤을 추는 장면을 넣기도 함.
    • 미국처럼 자유로운 댄스보다는 일사불란한 단체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경우가 많음\

한국
https://youtu.be/huZAEL_zHpA?si=WcmoXdiyN5UkilOY

https://youtu.be/WBxShFItEDM?si=YxrlzoVaw11OcqbW

 

반응형